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신청 방법, 은행별 금리 알아보기

반응형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월 70만원 한도로 납입할 시 정부 지원금을 더하여 총 5,000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입니다. 일반적금에 비해 혜택이 훨씬 좋고 5년 만기를 채울 시 전액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신청 기준 등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 34세의 청년(군 복무자 기간 제외되므로 군 복무자는 만 36세까지)을 대상으로 2023년 기준 1989년생부터 2004년생까지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개인 소득 7,500만원 이하자, 가구 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총 급여 6,000만원 이하에게만 정부 기여금 지원)인 경우 해당이 된다고 합니다. 개인 소득은 연말정산 시 총소득으로 세금 공제 전 연봉을 말합니다. 또한, 최근 3년간 금융소득(예금을 통한 이자 소득, 주식 배당을 통한 배당금 등)이 2,000만원을 넘은 적이 없어야 합니다. 청년 희망 적금에 가입한 분들은 희망 적금 만기나 중도해지 후에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간은 2023년 6월 15일 ~ 2025년 12월 31일까지라고 합니다.

가구 소득 중위 180%의 월 세전 소득(23년 기준)
1인 가구 374만 205원
2인 가구 622만 1079원
3인 가구 798만 2668원
4인 가구 972만 1735원

2. 신청 방법

매월 2주간 각 은행별로 가입신청을 받고 2주에서 3주간 심사 후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총 11개 은행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은행앱을 이용해서 영업일(오전 9시 ~ 오후 6시 30분)에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11개 은행으로는 신한, KB국민, 하나, 우리, NH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은행이 있습니다.

반응형

3. 신청 기간

2023년 6월 15일(목) 부터 6월 23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7월 1일부터는 매월 첫 2주간 가입을 받는다고 합니다. 6월 15일(목)에서 21일까지는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가입 신청가능하며 6월 22일과 23일에는 출생연도와 관계없이 가입 신청할 수 있다고 하니 이점 유의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6월 15일(목)에는 출생연도 끝자리3, 8인 경우, 6월 16일(금)에는 출생연도 끝자리4, 9인 경우, 6월 19일(월)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0, 5인 경우, 6월 20일(화)에는 출생연도 끝자리1,6인 경우, 6월 21(수)에는 출생연도 끝자리2,7인 경우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은행별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3년까지는 고정금리를 적용하며 그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11개 은행 모두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합친 최고 금리는 6%로 동일하지만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세부 항목이 다르므로 비교 후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금리를 비교하고 싶으신 분들은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하러가기

5. 개인소득별 정부 지원금

정부에서는 월 최대 2만 4천원까지 지원을 해주는데 이는 가입자의 개인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고 합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정부 지원금을 많이 받을 수 있고 7,500만원을 초과할 시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총급여가 2천 4백만원 이하인 경우 월 70만원을 납입할 경우 정부에서는 월 40만원 한도로 6%의 기여금을 지원해 월 최대 2만 4천원을 추가 납입해 줍니다.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원 이하 ~40만원 6.0% 2만4천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만3천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만2천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만1천원
7,500만원 이하 - - -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