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 대회 진행 방식] 토너먼트(tournament) 방식

반응형

안녕하세요! 롸이킷핑퐁 입니다. 😉

여러 동호인 분들과 탁구 경기를 하다 보면 게임을 대회처럼 진행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럴 때 고민되는 것이 경기 진행 방식입니다.

경기 진행방식은 크게 토너먼트 방식과 리그 방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회를 진행하다보면 토너먼트 방식과 리그전 방식을 헷갈려하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먼저 토너먼트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1. 토너먼트(tournament) 방식

토너먼트 방식은 참가한 선수나 팀들을 추첨이나 제비 뽑기 등을 통해 두 선수나 팀을 묶어서 경기를 한 뒤 이긴 선수가 다음 단계로 올라가는 계단식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기에서 패한 사람이나 팀은 더 이상 경기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다 최후에 남은 두 선수나 팀이 경기를 하고 최종 승자인 우승을 결정짓는 방법입니다. 체육학대사전에서는 "대진표에 따라 계속 이기면 결승까지 올라가지만, 한 번 지면 탈락하는 방식"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2. 토너먼트(tournament) 방식의 유래 및 장·단점

중세 기사들의 무예대결인 마상시합을 토너먼트(tournament)라고 하였으며, 오늘날에는 각종 스포츠에 적용하여 경기의 최종 승자를 가리기 위해 승자끼리만 계속해서 맞붙는 방식을 토너먼트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토너먼트 방식의 장점은 시합수가 경기를 거듭할 수로 적어지므로 참가자가 많은 게임에서 승자를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단점은 승자에게만 다음 경기의 기회가 주어지고 패자에게는 다음 경기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므로 실력을 제대로 발휘해볼 기회가 주어지지 않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충하기 위해 실력이 좋은 사람들을 최초부터 만나는 일이 없도록 시드제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토너먼트(tournament) 방식 대진표 작성의 예

참가자의 수에 따른 토너먼트 작성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인원수의 대진표 작성방식을 제시하였습니다. 밑에 제시되지 않은 인원수의 경우 제시된 인원수의 경우를 조합하여 대진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9명일 때는 5명+4명의 토너먼트 양식을 조합하여 대진표를 작성하고 10명일 때는 5명+5명의 토너먼트 양식을 조합하여 대진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또한 11명일 때는 5명+6명의 양식을 조합하여 대진표를 작성하고 12명일 때는 6명+6명의 양식을 조합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 2명일 때

나. 3명일 때

다. 4명일 때

라. 5명일 때

마. 6명일 때

바. 7명일 때

사. 8명일 때

토너먼트 방식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셨나요? 😉

경기를 진행하실 때 단시간에 경기 결과를 결정해야 하실 경우에는 토너먼트 방식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기를 진행하실 때 위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